브루나이 U-23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나이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브루나이를 대표하여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에 출전하는 팀이다. 이 팀은 올림픽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으며, 아시안 게임에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 불참했다.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예선 탈락하거나 출전을 포기했으며,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는 6번 참가하여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아세안 U-23 챔피언십에서는 2번 출전하여 모두 전패했다. 유니폼은 노란색 바탕에 검정색과 흰색 줄무늬가 들어간 홈 유니폼과 짙은 청록색의 원정 유니폼을 사용하며, 코칭 스태프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축구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브루나이를 대표하는 팀으로 FIFA와 AFC의 제재와 복귀를 겪었지만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며 2016년 AFC 솔리대리티컵 4위, 2024년 FIFA 시리즈 참가, 스리랑카 친선 경기 3연승,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3차 예선 진출 등의 성과를 냈다. - 브루나이의 축구 - 브루나이 풋살 국가대표팀
브루나이 풋살 국가대표팀은 브루나이를 대표하며, FIFA 풋살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AFC 풋살 선수권 대회에서는 한 차례, AFF 풋살 선수권 대회에서는 세 차례 4위를 기록했다. - 아시아의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일본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아시안 게임 우승 및 올림픽 4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아시아의 U-23 축구 국가대표팀 - 라오스 U-23 축구 국가대표팀
라오스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오스를 대표하는 23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시안 게임과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4강 진출과 2018년 아시안 게임 첫 승을 기록했으나, 대부분의 대회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는 하혁준 감독이 이끌고 있다.
브루나이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브루나이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트리그램 | BRU |
별칭 | 타부안 무다 (젊은 말벌) |
협회 | 브루나이 축구 협회 |
홈 경기장 | 하사날 볼키아 국립 경기장 |
코칭 스태프 | |
감독 | 미정 |
코치 | 미정 |
선수 | |
주장 | 미정 |
최다 출장 선수 | 미정 |
최다 득점 선수 | 미정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미정 |
최다 점수차 승리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11년 11월)에서 2–1 |
최다 점수차 패배 | 자르카, 요르단; 2023년 9월 9일)에서 11–0 |
주요 대회 참가 정보 | |
대회 명칭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참가 횟수 | 6회 |
첫 참가 | 200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
2. 국제 대회 경력
브루나이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본선 진출 기록이 없다. 1992년부터 2012년 대회까지는 참가하지 않았고,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20년 도쿄 올림픽, 2024년 파리 올림픽은 모두 아시아 예선에서 탈락했다.[2]
아시안 게임의 경우, 2002년 대회부터 U-23 대표팀이 참가하게 되었는데, 브루나이는 2002년부터 2010년 대회까지 불참했다.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2013년 대회에 불참했고, 2016년부터 2020년 대회까지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2년 대회는 출전을 포기했으며, 2024년 대회는 다시 예선에서 탈락했다. AFC U-23 아시안컵은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역할도 겸하고 있다.
2. 1. 올림픽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1992 | 참가하지 않음 | |||||||
1996 | ||||||||
2000 | ||||||||
2004 | ||||||||
2008 | ||||||||
2012 | ||||||||
2016 | 예선 탈락 | |||||||
2020 | ||||||||
2024 | ||||||||
2028 | 미정 | |||||||
합계 | - | 0 / 7 | - | - | - | - | - | - |
2. 2. 아시안 게임
2002년부터 아시안 게임 축구는 23세 이하 선수 대회로 변경되었다.[2]
2. 3. AFC U-23 아시안컵
AFC U-23 아시안컵은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역할을 한다.
2. 4.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01년 대회를 시작으로 총 6번의 대회에 참가했지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나마 2011년 대회에서 라오스와 비긴 후 필리핀을 꺾고 첫 승을 올리며 처음으로 승점 4점을 챙겼지만 나머지 대회에서는 단 1점의 승점도 챙기지 못하고 전패를 당하면서 동남아 축구 최약체팀의 면모를 굳혔다.[1]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2001년 | 1라운드 | 9/9 | 3 | 0 | 0 | 3 | 1 | 19 | |
2003년 | 불참 | ||||||||
2005년 | 기권 | ||||||||
2007년 | 불참 | ||||||||
2009년 | |||||||||
2011년 | 1라운드 | 9/11 | 5 | 1 | 1 | 3 | 5 | 17 | |
2013년 | 1라운드 | 10/10 | 4 | 0 | 0 | 4 | 2 | 14 | |
2015년 | 1라운드 | 11/11 | 5 | 0 | 0 | 5 | 2 | 17 | |
2017년 | 1라운드 | 11/11 | 4 | 0 | 0 | 4 | 1 | 12 | |
2019년 | 1라운드 | 11/11 | 5 | 0 | 0 | 5 | 0 | 31 | |
2021년 | 불참 | ||||||||
2023년 | |||||||||
합계 | 6/12 | 최고: 9위 | 26 | 12 | 1 | 13 | 25 | 11 | 110 |
2. 5. 아세안 U-23 챔피언십
2022년 대회를 시작으로 2번의 아세안 U-23 챔피언십 본선에 출전했지만 2번의 대회에서 모두 3전 전패의 처참한 성적을 받아들이면서 여전히 동남아시아 축구 변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5년 | 불참 | ||||||
2011년 | 기권 | ||||||
2019년 | 불참 | ||||||
2022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13 |
2023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1 | 12 |
합계 | 조별 리그 (2회) | 6 | 0 | 0 | 6 | 1 | 25 |
브루나이의 홈 유니폼은 전통적으로 브루나이 국기를 기념하여 노란색 바탕에 검정색과 흰색 줄무늬가 들어가 있다. 현재 원정 유니폼은 짙은 청록색이다.
[1]
문서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이후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
3. 유니폼
유니폼 제작사 연도 아디다스 1998–2001 미트레 2002–2007 롯토 2008–2020 브루나이 축구협회 (FABD) 2022–2024 푸마 2024–
4. 코칭 스태프
이름 재임 기간 최영준|崔榮峻한국어 2001 다예 알리|Dayem Alims 2011 권오손|權五손한국어 2013 스티븐 응 헹 생|Stephen Ng Heng Seng영어 2015 권오손|權五손한국어 2017 스티븐 응 헹 생|Stephen Ng Heng Seng영어 2019 아미누딘 주마트|Aminuddin Jumatms 2019–2022 하니타 아쓰시|埴田 篤史일본어 2023
참조
[2]
문서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예선 이후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